(Tableau) 태블로 실습 #3 : 서울시 아파트 실거래가 공공데이터 활용 차트 작성

Tableau Practice #3 태블로 실습 #3 2020년 서울시 아파트 실거래가 공공데이터 활용 차트 작성 - 총 4개 차트 작성하여 대시보드 구성 월별 평균 거래금액 및 총 거래건수 : 막대차트와 라인 차트 결합. 참조선을 통한 평균 표시 동별 평균 거래 금액 : 트리맵 활용 (평균 거래금액 상위 20위까지만 표시) 면적별, 건축연도별 평균 거래금액 : 원 차트 활용, 거래금액에 따른 색상 및 크기 변화 평균 거래 금액 Top 10 단지 : 표 차트 작성 (순위 퀵테이블 계산, 필터 컨텍스트 지정) - 강남구로 필터링해서 본 거래 현황 대시보드 완성본 주요 2개 차트를 보자면, 20년 서울시 전체 월별 아파트 평균 실거래 금액이 가파르게 우상향한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거래건수가 6~7월에 집중 되어 있는데, 정부의 6/17, 7/10 부동산 대책이 오히려 역효과를 내면서 패닉 바잉이 증가한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면적별, 건축연도별 평균 거래 가격을 보면, 당연히 면적이 클수록 거래 가격은 우상향 한다. 다만 건축연도를 기준으로 보면 10~30년 이내 구간에서는 신축일 수록 가격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나 오히려 40~50년 아파트 거래 가격이 훨씬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알고보니 강남에 압구정 현대 아파트를 비롯한 70년대에 지어진 아파트들의 거래 가격이 높은 것이 해당 건축연도의 전체 평균 가격을 높이는 원인이었다. 부동산 거래 공공데이터는 양이 워낙 방대해 내려 받는데 시간이 오래 걸려 서울시에 한해 20년 자료만 활용할 수 밖에 없어 전년 비교를 못한 점이 아쉽지만, 20년 한해 가장 이슈가 많이 되었던 사안을 데이터로 시각화해보며 다시금 현상을 들여다 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었던 실습이었다.